분류 전체보기 172

휴지를 이용한 나비

두루마리 휴지를 뜯어, 거기에 붓으로 다양한 색의 물감을 스며들게 합니다. 휴지가 마를 동안, 스케치북에 그림을 그리고 채색을 합니다. 물감을 적신 휴지가 다말랐으면 휴지를 나비모양으로 만들고 스케치북 원하는 곳에 풀이나 테이프로 붙여줍니다. 멋진 나비가 탄생하는 순간입니다. 김경복 작품 김문선 작품 박은숙 작품 백승애 작품 서영민 작품 송기옥 작품 이완미 작품 이유희 작품 최은정 작품 최은정 작품 이가희 작품 함선영 작품 박정아 작품 조윤정 작품

미술이야기 2016.10.23

정서장애아동의 미술치료

정서장애는 일반적으로 공격성과 위축성 두 성향으로 나타나는데 공격적인 아동들의 행동은 주로 타인에 대한 민감한 반응 즉 대부분의 타인에게 적대적인 반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대방의 의도를 적대적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공격적인 아동에게 좋은 재료는 점토이며 점토는 에너지를 흡수 할 수 있는 재료적 특성을 가지고 있어 내담자가 점토를 치고 던지고 두드리면서 자신의 공격성을 표출하며 만족감을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또 하나의 치료 방법으로 문제와 직접적인 전면전을 함으로써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게슈탈트 치료법으로 자신의 문제의 근원이 무엇인지 스스로 인지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점토를 이용한 자소상 또는 꼴라쥬를 이용하여 자신의 과거, 현재, 미래를 잡지에서 선택해 붙여보는 방법도 적용해 볼 수 있..

정신지체아동의 미술치료

정신지체아동에게 있어선 미술치료라 함은 정서적 안정과 자기 조절 능력 최소한의 학습능력을 기르고자 하는 목적일 것이다. 이런 여러 장애의 특성 중에 어떤 특성이 치료의 주목표가 되는 가에 따라 치료 프로그램 또한 달라질 것이다. 로웬필드는 정신지체아의 미술표현 특성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 ․성장발달단계의 속도는 느리지만 일반아동과 같은 성장 패턴을 보여 준다. ․단조롭고 원시적인 형태지만 손의 운동기능은 뒤지지 않는다. ․촉각적 형태의 경험에 치우치는 경향이 있다. ․형태나 주제의 반복적인 표현을 하며 실험적인 태도를 보여주지 못한다. ․지각활동연상에까지 확대된 에너지의 결여를 보여주는 빈약한 공간적 형태의 특징이 있다. 또한 정신지체아동은 인지능력의 미흡함으로 인해 화면 구성이 변칙적이다. 더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