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다라 8

만다라에 나타나는 색상

만다라에 나타나는 색상 출처 : 수잔 핀처 저, 김진숙역 - “만다라에 조화로운 색상이 타난다는 것은 내면의 균형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마음의 평화 혹은 치유가 되고 있는 메시지를 내포하고 있다.”(Fincher,1991) - 색은 그림을 그리는 사람의 개성과 심리상태의 표현함 기분이나 정신 상태를 알려주며, 현재나 과거의 문제와 연관된 감정을 나타냄. 만다라에 나타나는 색상은 무궁무진한 생각과 느낌, 직관들을 그대로 표현하고 있다. 만다라의 색깔을 이해한다는 것은 바로 당신의 무의식이 보내고 있는 메시지를 이해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같은 색상도 사용할 때마다 그 의미가 달라질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한 색상이 열 의미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 모든 색상들의 의미가 언제 어디서나 같다고 할 수는 없..

만다라 2016.11.16

만다라-숫자

만다라 그림에 빈번히 나타나는 형태와 연결된 개수도 심리적 의미를 지닌다. 피타고라스는 '수와 측도 모든 사물의 본질이며 모든 존재의 질서를 주기때문에 사물을 주관한다' 라고 하였다. 만다라에서 형태의 개수가 주는 의미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여기에서 개수는 만다라의 구조와 기하형태와 리듬감 있고 정돈된 분할을 위해 중요한 요인이 된다. 숫자 상징에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0에서 13싸지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0 비어 있는 원, 무, 영원, 완전한 형태, 모든 것의 결핍, 허무, 불분명한. 1 하나는 형태상으로 사람이 바로 서 있는 모습이다. 시작, 근원, 유일성, 일치와 통일성, 신과 개별성, 내부에 모든 힘을 품고 있는 중심, 통합, 개인, 정신의 성숙, 모든 과정의 시작, 어린아이의 체험, 수동적, ..

만다라 2016.11.16

만다라 미술치료

만다라 미술치료 만다라 란 ? 만다라 (曼茶羅, Mandala) 란 고대 인도의 산스크리트어에서 비롯된 원상(圓相)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데, 어근 manda는 ‘중심’ 또는 ‘본질’을 의미하고, 접미사 la는 소유 또는 성취를 의미합니다. 즉 중심과 본질을 얻는 것, 마음속에 참됨을 갖추고 있거나 본질을 원만히 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만다라의 유래와 형태 만다라는 인도의 고대어에서 유래되었지만 상징으로서의 만다라는 기독교의 십자가, 원불교의 일원상, 불교사찰의 표시인 만(卍)자 외에도 인간정신 속에 있는 자기를 나타내는 상징들에서 그 모습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동그라미, 나선형, 이와 비슷한 디자인이 아프리카, 유럽, 북미 대륙의 암각화에서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보아 고대 인류의 삶 속에..

만다라 2016.11.16

만다라 정리

만다라 고대인도 범어(산스크리트)에서 비롯된다 상징주의 철학과 신비주의적 특징을 지니고 있는 인도불교의 밀교적 용어로 만다(manda) 와 라(la) 로 나누어 설명한다 만다: 중심 또는 본질을 의미하는 접두어 라 : 소유 혹은 성취를 의미하는 접미사 만다라의 정의 : 중심과 본질을 얻는것, 마음 속에 참됨을 갖추고 있거나 본질을 원만히 하는것 만다라의 총체적 의미 1) 개인적 삶의 영역, 즉 소우주 영역을 나타낸다 만다라를 바라보며 깊이 묵상을 하는 사람은 자기의 중심에 와 있으며, 동시에 자신은 삼라만상의 존재와 서로 연결되어 성스러운 우주에 속해 있는 것을 발견한다 개인적 삶의 영역으로서 만다라를 심층심리학적 관점에서 접근한 대표적 심리학자는 "융(Jung 1962)" 이다 융(Jung)에 의하면 ..

만다라 2016.11.16

만다라 연구

1)자기를 나타내는 만다라 인도의 순래자들이 성스러운 마음으로 부처의 해탈을 의미하는 원을 그리고 있다 티벳의 승려가 아침명상을 위한 만다라를 그리려고 붓을 가다듬고 있다 독일의 한 수녀가 불꼿과 같은 바퀴로 나타나는 신의 비젼을 보고 있다 한국 여인들이 둥근 보름달 아래에서 강강수월래를 한다 고대 페르시아의 목동이 어두운 밤하늘에 나선형으로 감돌아 흐르고 있는 혜성을 지켜보고 있다 미국의 어린 소년이 종이 위에 크레용으로 축축한 모래사장 위에 서서 그의 주위에 동그라미를 그리고 있다 여기에 묘사된 여러 인간들의 모습에서 공통된 점은 무엇일까? 그것은 그들 모두가 억제할수 없는 위력을 가지고 있는 원형적인 것에 관여하고 있다는 것이다 어떤 이유로 원형이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인간의 문화속에서 이렇듯 중요한..

만다라 2016.11.16

[스크랩] 동휘스님 의 만다라

행복’ 머금은 만다라로 진리 세계 엿보다 동휘 스님, 5월 30일까지 ‘해피만다라 대전’ 법련사 불일미술관서…작품 200여 점 전시 [2010년 05월 17일 월요일] 부처님이 깨달은 진리를 다양한 상징으로 표현해 화폭에 담은 만다라. 그 특유의 오묘한 형상과 화려한 색감은 불자는 물론, 종교를 떠나 일반 대중들의 눈길마저도 사로잡는다. 만다라의 다채로운 상징 세계와 그 속에 담긴 의미를 세계 각국의 진품 만다라를 포함한 200여 점의 작품을 통해 접해 볼 수 있는 기회가 마련됐다. 해피만다라 문화원(원장 동휘)은 부처님오신날을 맞아 봉축문화 제전 ‘만다라 대전-해피붓다 해피만다라 해피코리아’를 개최한다. 5월 17일부터 30일까지 서울 법련사 불일미술관에서 열리는 만다라 대전에는 동휘 스님의 해피만다라..

만다라 2016.11.16

[스크랩] 종교의 만다라

만다라 [Mandala, 曼茶羅] 힌두교와 탄트라 불교에서 종교의례를 거행할 때나 명상할 때 사용하는 상징적인 그림(→ 색인 : 탄트라 힌두교). 만다라 만다라는 기본적으로 우주를 상징한다. 즉 신들이 거할 수 있는 신성한 장소이며, 우주의 힘이 응집되는 장소이다. 인간(소우주)은 정신적으로 만다라에 '들어가' 그 중심을 향하여 '전진'하며 유추에 의해 흩어지고 다시 결합하는 우주 과정으로 인도된다. 만다라는 기본적으로 2종류가 있어 우주의 2가지 다른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하나에서 여럿을 향해 움직이는 '태장계'(胎藏界 garbha-dhātu)와 여럿에서 한 곳을 향해 움직이는 '금강계'(金剛界 vajra-dhātu)가 그것이다. 만다라는 종이나 천에 색칠하여 그리거나, 정성스럽게 준비된 땅에 흰색 ..

만다라 2016.1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