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아동미술치료 36

발달장애인 가족의 특성과 욕구

1. 가족구성원별 요구와 관심사 - 발달장애는 장애를 가진 개인에게만 국한된 문제가 아니라 가족 구성원 모두에게 삶의 여러 측면으로 영향을 미치게 됨 - 자녀, 형제, 손자녀 인지에 따라 가족의 경험은 상이함 - 발달장애인 가족을 적절하게 돕기 위해서는 가족 구성원들이 각자의 위치에서 경험하는 어려움과 욕구를 이해하는 것이 필요 - 불필요한 선입견을 갖지 않도록 하는 의식적인 노력도 필요 가. 부모 ○ 발달장애인 자녀를 둔 부모들은 자녀의 장애로 인해 양육과 교육에 있어서 많은 어려움을 겪음 ○ 일차적인 양육자의 역할을 담당하는 어머니들의 책임감과 스트레스는 상대적으로 높음 ○ 장애부모와 관련된 연구에서 부모를 주로 어머니로 간주하는 이유 -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그만큼 높다는 것을 의미함 - 아버지에..

자폐증의 원인, 증상, 치료법

- 자폐증의 원인, 증상, 치료법 - 자폐증 아동이 얼마나 될까? 모든 지역과 문화에서 같은 비율로 발견되고 있다. 12세 이하 소아 10,000명당 2-5명 정도의 유병률을 갖는다. 전형적인 자폐증은 아니더라도 어느 정도의 자폐적인 경향이 있으며, 심한 정신지체가 동반된 아동들을 포함시키는 경우에는 10,000명당 20명 정도의 발생빈도를 보일 것으로 생각된다. 우리나라에서 소아정신과를 방문하는 환자의 12% 이상이 자폐증이다. 원인? 과거에는 부모의 잘못된 자녀 양육방식이 자폐증의 원인으로 생각되었다. 최근에는 생물학적 요인으로 보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즉, 생화학적, 면역학적, 신경해부학적·신경병리학적, 유전적 요인이다. 자폐아의 형제 자매에서 자폐증 유병률이 일반인구 보다 50배나 높고 쌍생아 연..

ADHD

- 문제아가 모범생으로 - ADHD는 지능과 아무 관련 없어 집중력 찾아주면 '딴사람'으로 A교사는 요즘 철수의 변화가 신기하다. 남의 말은 귓등으로 듣고 두서없이 자기 이야기만 쏟아내던 버릇이 사라졌다. 수업시간에 산만하던 행동들도 잠잠해졌다. 자기 그림을 그리기는커녕 남의 그림에 낙서만 하던 철수가 교내 그림대회에서 상도 받았다. 철수는 이제 ?야단맞는 문제아?가 아니라 교사 부모로부터 ?칭찬 받는 아이?로 변했다. 학교생활이 즐겁고 ?나도 뭔가 할 수 있다?는 자신감에 찬 아이로 바뀐 것이다. 이는 A교사가 몇 달 전 철수 부모와 상담해 소아청소년정신과 진료를 받게 한 결과다. ADHD(주의력결핍과잉행동) 진단을 받고 전문의의 상담치료 및 약물치료, 교사와 부모의 합심 하에 칭찬을 위주로 한 행동치..

경계선 지적장애

경계선지적기능의 이해 1. 미취학시기 ○ 학교 입학 전이므로 학업 성취보다는 상호작용능력의 부족이나 어휘량 부족 등 언어능력 부진, 소근육 발달이나 미세한 운동능력 부진, 가상놀이¹⁾ 에서 상징화의 부족(예: “이 블록은 서연이가 타고 갈 비행기 야”라고 말함), 놀이 지속시간이 짧고 한 놀잇감에 대한 탐색시간이 매우 짧음, 정서적 공감을 표현하지 못하는 등의 특성을 보인다. 1) 어떤 사물, 상황, 사건 등에 실제와 다른 가상의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여 노는 것이다. 놀이의 가상적인 측면은 상징을 사용 할 수 있는 능력을 발달시켜 주는 것으로서 아동의 표상적, 논리적 사고의 점진적 발달에 중요하다. 지능에 결함이 있는 아 동들 가운데는 가상 놀이를 잘 이해하지 못하거나, 적절한 시기에 이러한 놀이 형태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