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아동미술치료

장애아동은 자신의 특기적성이 있을까?

김윤혜 2020. 3. 20. 11:14

장애아동은 자신의 특기적성이 있을까?

그렇다고 생각한다.

누구든 장애아동이든 비장애아동이든 스스로 무엇을 할지 결정할 충분한 능력이 있다는 생각이다.

단지 차이가 있다면 표현의 차이다. 제대로 자신의 의사를 표현하는 아이와 그렇지 못한 아이로 구분이 지어지는 것이지, 장애가 있어서 그렇다 아니라고 구분되는 것은 아니라고 본다.


장애를 인정하면 부족함도 받아들이고, 모자라는 것도 받아들이고, 있는 그대로 보는 연습이 필요하다.


일반 아이들을 따라가기 위한 무언가를 하는 것인지, 아니면 지금보다 조금 더 나은 무언가를 제공하기 위해 더 많은 무언가를 해야 한다면, 그 끝은 어디일까 아마도 끝이 보이지 않는 길 위에 서 있다고 해야 할 것이다. 부족하면 부족한대로 가야 하는 것이 현실이다. 현실을 인정한 상태에서 이성적인 판단이 필요하다. 재능을 찾아내고 그것을 끌어올리기 위한 방법을 단순하게 치료교육이라는 이름으로 행한다는 것을 반대하는 것이다.


진정으로 아이를 위한다면 무한의 인내심을 가져야 할 것

아이와 눈높이를 맞춰가는 것이 얼마나 길고 지루한 일인지 알고 있다. 하지만 진정으로 아이를 위한다면 무한의 인내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우리는 아이에 대해 충분히 이해하고 충분히 알고 있으며 충분히 소통을 하고 있는가? 장애를 편의상 두 가지로 나누어 보자

- 하나는 판단과 사고가 가능한 장애,

- 다른 하나는 그런 것들이 이루어지지 않는 장애.

전자의 경우는

-몸이 자유롭지 못함을 말하는 것이고,

-후자의 경우는 정신이 자유롭지 못함을 말하는 것으로 보면 대체로 후자에 속하는 아이들이 많은 것으로 알고 있다.
 
그렇다면 후자의 경우는 모든 아이들이 같은 행동양식을 가지고 같은 생각을 하며 지내고 있는가? 그렇지는 않다. 다들 각자의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생활의 범위가 다르다. 그렇게 다른 특성을 가진 아이들에게 필요한 것이 단순히 단어를 가르치는 것뿐일까?
 
진정으로 아이를 위한 길이 무엇인지 부모들은 깊이 고민을 하고 결정을 하는 것인지 물어봐야 한다. 그렇게 깊이 고민한 결과가 모든 아이들에게 동일한 교육을 시킨다면 어딘가 문제가 있다는 것이다. 이는 마치 모든 환자들에게 아스피린을 주는 것과 같은 이야기다

장애아에게 능력 있다는 것 인정해야 한다

 


교육이란 것은 아이가 어떤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어떤 재능을 발휘할 수 있는지 찾아가는 과정을 말한다.

그런데 너무 간단한 방법으로 모든 아이들을 대한다는 것에 고개를 끄덕일 수 있단 말인지…….

말을 잘 못하면 언어치료를 받아야 하는가. 그것 말고는 다른 방법이 없단 말인가.

→부모가 아이를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만들어 가는 것은 어떤가.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를 알아가는 목적으로 다가가고, 나누고, 표현하며 지낸다면 더 많은 것을 얻을 수 있지 않을까.


우리 아이들에게도 다른 아이들과 같은 감성이 있으며 느끼고, 생각하고, 판단할 수 있는 능력들이 있다는 것을 인정해야 한다.
  
의무감으로 아이를 대하기보다 친구가 되고, 선생이 되고, 부모가 된다면, 지금보다 더 나은 모습으로 우리 곁에 설 수 있을 것이다.

학습과 관련한 부분은 아이의 입장에서 프로그램을 만들고 그것을 천천히 접목시켜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교사의 고민과 부모의 고민이 어우러져 더 나은 프로그램을 만들어 낼 수 있다고 본다.
 
이제 아이를 좀 더 자유롭게 풀어주고 그 공간에서 상상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해 주었으면 한다

위드뉴스 자료

 

 

 

 

'특수아동미술치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폐아 교육  (0) 2020.12.09
소근육 놀이  (0) 2020.12.09
미술 치료 수업중  (0) 2020.03.20
정신건강테스트 질문지  (0) 2016.11.16
문제행동  (0) 2016.1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