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에 나타나는 우울, 불안, 자살 지표
병 리 |
지 표 |
상 징 |
우울증 |
광대 |
심각한열등감을 갖고 있는 아동들이 나타내는 선입견. 가족 가운데서 ‘위로하기 위한’,격려되어져야 하는 가족에 있어서 우울증이나 병력을 나타내는 사람들에게서 종종 보여진다., |
우울증 |
냉장고 |
박탈과 박탈에 대한 우울증과 관련된다. 냉장고의 차가움을 나타내는 사람들에게서 종종 보여진다. |
우울증 및 자살 |
눈(그리고 차가움,상징들) |
우울증과 자살과 관련된다 |
우울증,불안 |
얼음의 음영 |
부끄러움,우울,불안, 당황함 |
우울증 |
달 |
우울증과 관련된다(Burns, 1982) |
우울증 |
물 주제물과관련된 대상들의형태.예>못,풀장,바다 등 |
환상적 사고활동,심각한 우울증에서 빠져있거나, 우울증 경향과들과 관련됨. 물에 떠잇는 그림, 종종 물에 떠있는 그림은 우울증에 빠져 있거나. 우울증 경향을 가지고 있다. |
우울증 |
비 |
우울증 성향과 관련된다. |
우울. 슬픔 |
비. 구름 |
확장되는 방법과 그려진 방법을 주지하라. 일반적으로 슬픔이나 우울과 연관 있다(Koppitz,1968). |
우울증 |
떨어져썩는 과일 |
타락과 관련된 우울한 기분 |
우울증 |
침대 |
침대-상대적으로 드물며,정적인 것.우울증적 주제와 관련 |
우울증 |
흐려진 태양 |
우울증과 관련. 태양에서 보다 멀리 |
우울증 |
아래로 향한 나무가지들 |
해결되지 못한 문제들을 행해서 어네지를 투입하는 과거고착 |
자살 |
KHTP에서 나무를 가장 먼저 그린경우 |
나무= 생활에너지, 자살하고 싶은충동을 가진 사람 혹은 살려는 의지를 잃어 버린 사람 |
불안 |
구름 |
‘불안이 사람의 머리위에 걸려있는 ’ 어떤 것이다./ 구름의 수는 가족의 수 혹은 사람의 삼각관계에 있는 사람의 수와 관게된다. |
불안 |
그림자(음영) |
이것들은 집, 나무 혹은 사람에게 생길 수 있다. 그림자는 특정 한 그림에 그려져서 불안이나 암울한 기분을 나타낸다. 이것은 구름으로 상징되어지는 웬지 모르는 (free-floating)불안과 현저하게 다르다. |
불안정 |
기울어진 인물 |
기울어지면 질수록 더욱 더 불안정함 |
불안정한 사람 |
뒷장에 한명이상의 사람을 그림 |
가족을 떠난 사람(이혼) 또는 사별 |
불안 |
기울어진 인물 |
불균형, 마음의 안정이 깨짐. 그림의 인물이 기울어질수록 더욱 불안정함. 난독증의 경우 정상적으로 보임. 사별한 아동의 경우 고인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 |
불안 |
작은 인물 |
불안정과 힘의 결핍 |
불안이나 불만 |
삼각형 창문 |
가정에 대한 불안,불만,/창문이 지나치게 큰 경우 = 의존적 |
심한불안 |
상단에 있는 그림 |
격심한 불안,만성화된 걱정이나 두려움,정서적으로 혼란한 청소년 |
박탈 |
별 |
박탈(신체적 혹은 정서적) 과 관련된다 |
긴장 |
그네타기 |
생활속에서의 포위와 고립 |
분노 |
북 |
아동이 개방적으로 표현하는데 가진 어려움을 치환시킨 분노의 상징 |
분노 |
불 주제 |
종종 분노와 온정에 대한 욕구와 관련된다 |
분노 |
위험한 물건들 |
위험한 물건들이 많이 있는 것, 예를 들면, 망치, 칼등은 분노(사람을 가리키고 있을 때)나 혹은 수동적 공격적 분노(간접적으로 사람을 가리킬 때)를 나타낸다. |
의존성 |
너무커서 정교한 단추 |
-의존성이나, 충족되지 않은 욕구와 관련된다. -양육적인 면을 기대하는 사람이 그릴 것이다. |
의존적욕구 |
불타고 있는 잎들 |
충족되지 못한 의존적 욕구 그리고 그 결과로서 생겨난 분노 혹은 양 가 감정을 나타낸다. |
의존적 욕구 |
진공청소기 |
그 자체로 구강적 박탈 혹은 충족되지 않은 의존적 욕구의 경험을 지니고 있는 아동과 관련된다; 그 자체로 장의 상징(intestinal symbol). 힘과 통제의 상징 : 진공청소기를 사용하는 어머니는 힘 있거나 통제력 있는 인물로써 보여 진다. |
의존적 |
윤곽만 그려짐 |
의존적 성향, 가정 내 성향, 가정 내 불안, 환경인식 부족 |
의존적 |
둥지 안의 새 |
보호받기를 즐기는 의존적인 사람 |
폭행 |
투명한 그림 |
심한 장해나 신체부위에 관한 혼란, 폭행 가능성이 있다. “사람들은 나를 통해서 볼 수 있어요.”, 사정영역을 침해당함. “내 몸이 내 것이 아니에요. |
신체적 학대 |
들쑥날쑥한 이 |
공격적인 사람, 심각한 경쟁의식, 신체적 학대 |
성적 학대 |
배꼽을 덧그리거나 강조함 |
어린 아동의 경우 성적 학대의 지표이다. 일반적으로 여아에 의해서 좀 더 그려진다. |
무기력 |
신체말단 부위의 생략 |
무능력, 무기력, 희망 없음. 질적으로 더 심각함을 나타낸다. |
무기력 |
손이 잘려짐 |
통제부족, 무기력, 손은 외부 세상에 영향을 미치는 능력을 나타낸다. |
자기방어 |
포위하기 |
고립 되어 있고 두려운 느낌이다. 세상을 경계선을 가지고 자기를 보호하고 싶어 한다. 자기방어 |
'미술치료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동그림 발달 및 평가 (0) | 2018.11.10 |
---|---|
미술치료 일반적 진단 (0) | 2016.12.28 |
현상학적 미술치료 (0) | 2016.12.28 |
임상철학과 미술치료 (0) | 2016.12.28 |
동물 가족화와 귀여운동물그림도안. 동물만들기 (0) | 2016.1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