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형심리

형태 상징 상징

김윤혜 2016. 12. 28. 08:45

1) 원

원은 시작과 끝이 없는 곡선으로서 모서리가 없는 형태이다. 이러한 형태는 자연의 현상과 일상의 생활주변에서 가장 많이 볼 수 있다. 그러한 의미에서 원은 시간성과 공간성을 지니고 있으며 나아가 무형이면서도 유형이다. 예를 들어 낮과 밤이 있는 하루의 변화나 사계절의 규칙적인 변화는 시간적 원운동을 나타내며, 태양과 같은 행성들이 공간적으로 원의 형태를 지니고 있다.

원은 단일성과 기원과 통일체를 의미하는 숫자 1에 해당한다. 우너은 인류의 문화에서 주로 신과 초월자를 나타내는 상징적 형태로 받아들여졌다. 그러한 상징적 의미 때문에 원은 많은 나라에서 완성과 영원성으 ㄹ상징한다. 또한 원은 모든 것을 감싸는 것과 연관하여 어머니의 상징이기도 하다. 기독교 미술에서 전체로서의 하나,전체의 단일성을 표현한 것이 많다. 원의 중심점은 보통 사람형상의 중심인 복부 단전인데, 동야에서는 그곳에서 우주적이며 영적인 에너지가 솟아 나온다고 한다.

 

 

2) 삼각형

삼각형은 각이 있는 형태의 가장 기본이 되는 것으로 2개의 대각선을 가지고 있으며 형태도 다양하기 때문에, 기본적 기하형태에서 가장 역동적 형상을 지닌다. 삼각형의 구도를 즐겨 사용한 예술로는 무엇보다 고딕양식의 건축이다. 삼각형의 상징은 숫자 3이 가진 상징과 같은 의미를 지닌다. 인간의 인생에 있어서 출생과 삶과 죽음 혹은 청년기와 중년기와 노년기를 의미하며, 시간적으로 과거와 현재와 미래를 결한다. 이러한 점에서 삼각형은 역동성을 지니고 있으며, 그러한 역동성에서도 균형을 이루는 능력이 있다. 이와 같은 힘은 종교적 의미에서 신성한것을 상징하고 있다는 것이 수많은 종교에서도 볼 수 있다. 그리하여 삼각형은 신고 조화를 상징하는데, 기독교에서 삼은 삼위일체의 신성한 것을 상징하듯이 삼각형도 신성함을 나타낸다.

삼각형은 가장 다양한 형태를 가지는데, 각 삼각형의 형태에 따라 그것이 주는 상징도 다르다. 다시 말해서 꼭지점이 아래로 향한 역삼각형은 여성적-수동적 힘, 변화, 물, 무의식, 하늘의 은총, 잠재력, 음(陰)을 상징한다. 그에 비해 꼭지점이 위로 향한 피라미드형 삼각형은 남성적-창의적 힘, 땅에 서 있으면서 높은 곳으로 향하는 자세로서 생동력, 불, 생명력, 변화, 리비도, 창의성, 양(陽)을 상징한다. 또한 이러한 삼각형은 인간의 잠재력을 불러일으키며 영적인 힘을 경험하게 한다. 이 삼각형은 삶과 죽음과 재생을 다루고 있으며 새로움과 창의성의 분출을 나타내고 있으며, 그에 따라 자아의식을 암시한다.

 

3) 사각형

사각형은 인간의 생활과 아주 깊은 연관을 가지고 있는 형태이아다. 이러한 사각형은 편안하고 안정감을 느끼게 하는 형태로서 모든 인류에게 대지를 상징하며 그와 연관하여 단단함과 무거움이 고요를 의미한다. 대지와 관련한 사각형은 음양오행에서 음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하늘은 양을 상징한다. 또한 사각형은 건축에 있어서 기본이 되는 형태로 건축의 평면을 이룬다. 따라서 사각형은 삼각형과는 달리 구체적이며 명백함을 나타내고, 근원적이며, 물질적이고 정체적 형상으로서 정역학적 의미를 지닌다. 사각형은 숫자 4와도 긴밀한 관계를 지니고 있는데, 4방위, 4계절, 4원소, 4기질 등이 그러한다. 종교적으로 삼각형이 신성을 말한다면, 사각형은 인간적인 것을 의미한다. 정사각형이 원안에 있으면 땅과 하늘의 결합, 자신의 예너지의 충만함과 정화를 상징한다. 이러한 것은 우리나라, 티벳과 중국의 만다라에서 자주 볼 수 있는 형태이다. 이처럼 정사각형은 원과 더불어 만다라의 기본형태이기도 하다. 플라톤은 정방형을 완벽한 미(美)라고 하였다.

분석 심리학에서 사각형은 인간의 무의식에서 나온 형상으로서 원형적 구조문양으로 본다. 이는 안정성, 조화와 균형(숫자 4에 상응), 판단력, 인간적 완벽성, 서로 다른 요소들 사이의 균형, 정신에서 물질로의 변화, 합리적 사고, 목적 지향적 행동, 실행과 관련된다.

사각형은 긍정적 의미에서는 고요와 휴식을 주고, 놀이나 집회를 위한 공간으로서 공동체 의식이나 소속감을 주는 반면, 부정적으로서 폐쇄적이거나 답답한 공간이나 심지어는 감옥과 같은 의미를 지니기도 한다.

'도형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신의 기질을 알아야 하는 이유  (0) 2017.01.30
기질별 특성 정리  (0) 2017.01.30
우울질장단점( 에스)  (0) 2017.01.30
[스크랩] 히포크라테스 4기질검사  (0) 2017.0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