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생활화
학교생활화
해석방법......................
1,전체적 평가
2.형식적 평가: 동적 그림체계의 해석 지침.
3.내용적 분석:;주변의 타인의 표정이나 행동 위기 고려.
*아동 자신, 친구, 선생님의 상호관계
1.자신을 생략하는아동:자아개념이 매우 약하거나,학교생활에 별로 흥미가없어,소속감이 없을수있음
2.자신을 나중에 그리는 경우: 겸손하거나 내성적이거나,다소 소외적 성향
3.자신을 먼저 그리는 경우: 학교에서 자기 주장 강하고 자신있는 생활
*아이들은 심리적으로 친한 친구들을 그림속에 표현
1. 아동 가까이에 그리거나 아동보다 먼저 그린 사람
: 학교에서 가장 친하거나 의지하는 친구.
2. 선생님을 먼저 그리거나 중앙에 그리면; 학교생활에서 선생님의 위치를 중요하게 생각.
3.선생님을생략:선생님에 대하여 무관심하거나 부정적 감정 표현.
-뒤통수만 그린 경우(뒷면, 측면 그림);자신의 얼굴 보기 싫어하는 것처럼/ 자신에 대한 거부감.
보기 싫거나 외면하고 싶을 때.
-얼굴이 비어있다: 회피
-머리만 그림 : 신체영역에 대한 갈등, 적응 장애.
-홀로 그려진 경우: 교우관계 좋지 않은 경우.
(표면적으로는 좋아보이나, 내면적으로는 좋지않은 경우)
-지우고 다시 그린 경우: 그렸을 때, 불안, 갈등 있다는 것으로 의미,.
-손,발이 없으면- 무기력, 좌절
바람 ; 자신의지 상관없이 타인의 피해 입고 있다.
-작은 그림: 환경 부적응, 열등감, 무력감.
-큰그림: 환경에 대한 적의,공격, 자유분방
**위치
-위:높은 목표, 공중에 떠있는 느낌==> 낙천적
-아래쪽: 불안정감, 우울
* 왼쪽:자의식 강함, 내향, 여성적/ *오른쪽: 미래강조, 남성적
*불균형배치: 지능발달, 통제력 부족/ *귀퉁이: 불안, 과거 퇴행